2. 퍼터의 관성모멘트 (Moment of Inertia).
- Thor
- 2021년 8월 8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1년 9월 8일
1. 관성모멘트란 회전에 저항하는 크기를 수치화 한 것. 질량관성모멘트가 정확한 표현이다.
2. 모든 회전체에는 회전축이 있다.
퍼터 해드에 샤프트가 설치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팽이 처럼 회전을 시키면 퍼터의 회전 중심축으로 돌겠지만, 샤프트가 설치되어 있는 퍼터에서의 M.O.I.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힘에 대한 저항성능이므로 퍼터 샤프트가 M.O.I. 측정의 기준 축이 되어야한다.
3. 그래서 지금 까지 회전 기준축을 말하지 않고 M.O.I.를 논한 것은 잘못된 것이며, 지금까지 퍼터를 만든 제작자들의 물리학 이해 수준을 알게 해 준다.
4. 퍼팅할 때 가장 쉬운 퍼터는, 샤프트를 기준 축으로 토우(Toe)와 힐(Heal)의 M.O.I.가 같은 값을 가지면서 M.O.I.가 큰 퍼터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퍼터가 페이스 밸런스(Face Balanced Putter) 이다.
5. 토우 밸런스(Toe Balanced Putter)는 백스윙 할 때, 퍼터 샤프트를 기준으로 토우(Toe) 방향의 관성모멘트가 크므로 토우가 늦게 따라 오려고 하고, 다운 스윙 할 때는 또 토우가 늦게 따라 온다.
6. 퍼팅 거리가 3m 이하일 때는 손과 팔에 힘을 주지 않는 부드러운 스트로크를 해야 하는데, 이때 페이스 밸런스 퍼터에는 생기지 않는 회전력이 토우 밸런스 퍼터에 발생되는데, 이를 제어하려고 그립에 힘을 주면 숏퍼팅에서 실수할 확률이 높아진다.
그래서 프로 선수들이 숏퍼팅 연습에 매우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이다.

Comentarios